본문 바로가기
배움터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과 이데올로기 정리 2) -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by G-ZELKOVA 2024. 3. 7.
반응형

사회복지사 1급, 2급 자격증을 위한 사회복지정책론 내용 정리

사회복지정책론 중 이데올로기에 따른 사회복지 정책의 변화에 대하여 정리한다. 그중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에 따른 사회복지정책론에 대하여 정리한다.  

보수주의

  보수주의는 보통 종교나 문화 민족의 전통적인 가치의 수호를 주장하는 정치이념

 

일반적으로 진보주의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주로 이데올로기적인 근대 정치사상의 특정조류를 가리키면서 사회심리학적 의미에서 인간의 심리적인 태도나 성향을 가리키기도 하는 용어

 

  이데올로기로서의 보수주의는 근대 시민계급의 대두와 사회구조의 변화를 전제로 하여 프랑스 발전과정에 서 성립

 

  시민계급이 당시의 진보주의인 자유주의 또는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주체로 등장하자 이에 반하여 귀족계급이 보수주의라는 개념으로 총괄되는 사상적 조류를 낳게

 

  보수주의는 19세기 왕정보고시대에 이르러 사상적 조류로서 확고한 지위를 가지게 되었고 이때부터 비로소 정치적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

 

  인간본성에 대해 보수주의자는 사뭇 비관적임

 

  인간본성은 나태하며 자기만 알고 좀처럼 타인을 돕지 않는 존재로 바라봄

 

  인간의 부정적 성향 때문에 인간은 통제되어야 하며, 일탈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

 

  사회의 모든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선택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

 

  보수주의자는 전통적으로 가정의 존재와 기능을 최우선에 올려놓음

 

  가정은 개인 생활의 모태이자 중심에 위치

 

  부모의 권위를 침해하거나 가정의 약화를 가져오는 프로그램의 공급에는 반대

 

  사회에 대한 보수주의자의 의지는 현상유지

 

  사회체제를 공평하다고 보기 때문에 변화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

 

  최소한의 정치를 최고의 정치 받아들임 정부는 개인 생활에 가능한 한 적게 개입할수록 정부의 역할을 다했다고 봄

 

보수주의 구분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정리 

  • 변화: 일반적으로 변화는 바람직한 것으로 바라보지만, 현재 상태 유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 인간본성: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이다(성악설 측면) 그렇기 때문에 통제가 필요하다. 
  • 가족체계: 전통 가족이 사회의 기본 단위이다. 
  • 개인행동: 개인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각자의 인생과 문제에 대하여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 사회체계: 사회는 공평하다. 이 공평함은 개입이 적을수록 기능을 잘한다. 
  • 정부와 경제제도의 역할: 자유시장경제가 인류의 번영과 개인 욕구 충족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시장의 역할을 인정하고 지지해야 한다. 

 

진보주의

  진보주의자는 인간의 본성을 낙관적으로 인식

 

  인간은 선하게 태어났으며, 통제가 필요 없는 전인격적 존재로

 

  본성이 선한 만큼그에 상응하는 자유를 누려야 한다는 입장 

  개인의 행동이란 경험에 영향을 받는다는 심리학적 이론을 받아들임

 

  인간행동의 주원인을 환경에서 비롯되었다고

 

  빈곤의 원인을 개인의 나태나 성향이 아닌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 찾고 있음

 

  진보주의자는 가족을 진화하는 하나의 제도로 파악

 

  남녀가 평등하다는 인식에 따라 동일한 보수, 동일한 책임과 권한을 주장

 

  사회체제에 대한 진보주의자의 생각은 대체적으로 공평하다고 보지만, 이익집단의 과도한 경쟁과 개입으로 불평등이 양산될 적절한 개입도 필요하다고 주장

 

  사회를 최선의 것으로 평가하지 않으며, 변화를 통해 공평과 사회정의를 이룰 있다고

 

사회와 경제에 대한 정부의 개입은 필수적이며, 자유시장경제는 공평을 보장하기 위해 통제될 수 있다 주장

 

진보주의 구분

각 항목에 대하여 정리한다. 

 

  • 변화: 변화는 진보를 가져온다. 변화는 최선이다. 
  • 인간본성: 근본적으로 선하다(성선설 측면) 선한 자극을 강화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 가족: 가족은 변화한다. 사회 및 정부의 지지가 필요하다. 
  • 개인행동: 개인은 자치적이거나 자기 지배적이지 못하다. 환경으로부터 부분적인 영향을 받는다. 
  • 사회: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에 공평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통제가 필요하다. 
  • 정부와 경제제도 역할: 자유시장경제는 공평을 위해 통제될 필요가 있다. 인간의 기본 욕구 충족을 위해 정부의 프로그램은 필수적이다. 

 

간단 요약:

1.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1)   자유주의 : 개인의 자유와 평등과 자조를 지향하고 시장의 역할을 강조

2)   신자유주의 : 자유주의의 개인주의적 요소에 공동체주의적 요소를 가미하고 국가개입을 조화시키려 한 사회이념

 

2.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1)   보수주의 : ‘최소한의 정치를 최고의 정치 받아들임

2)   진보주의 : 변화를 통해 공평과 사회정의를 이룰 있다고 주장

 

반응형